승마 국가 자격증 종류 및 취득 방법: 기승 실력의 공식 인증
승마는 단순한 취미를 넘어 전문성을 갖춘 스포츠입니다.
특히 자격증은 기승 실력과 말 다루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인증해주는 기준이며, 말산업 관련 직업을 준비하는 사람에게도 필수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국내에서 취득할 수 있는 주요 승마 자격증 종류와 취득 방법을 상세히 안내합니다.
1. 국가공인 승마 자격증 총정리
① 생활체육 승마지도자 자격증 (대한승마협회)
- 대한승마협회에서 발급
- 총 3급~1급까지 등급화
- 비전문가도 응시 가능 (3급 기준)
② 말산업 국가자격증 (한국산업인력공단)
- 마필관리사, 장제사, 재활승마지도사 등
-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업기사·기능사급 자격
- 기승 능력보다는 직무 실무 중심
③ 장애인 재활승마지도사 자격증
- 한국재활승마협회(KHAPA) 주관
- 재활 목적의 기승 지도 중심
2. 대한승마협회 생활체육 승마자격증
3급 자격증
- 기초 기승 능력 (속보, 구보, 간단한 코스)
- 응시 자격: 만 14세 이상
- 시험 구성: 필기 + 실기
2급 자격증
- 응시 조건: 3급 취득 후 6개월 이상 경과
- 시험 항목: 외승 기술, 간단한 드레사지
1급 자격증
- 전문 승마지도사 준비자 대상
- 정식 대회 출전 경험, 드레사지 패턴 해석 등 요구
3. 시험 절차 및 준비 방법
응시 절차
- 대한승마협회 회원 가입
- 지정 승마장에서 시험 접수
- 필기시험 → 실기시험
- 합격 시 자격증 발급 (PDF 또는 실물)
필기 과목 예시
- 기승 이론
- 말 해부학
- 안전관리 및 장비 이해
실기 항목 예시 (3급 기준)
- 승마 자세 (앉은 자세, 고삐 사용법)
- 속보 시 균형 유지
- 간단한 장애물 통과
4. 말산업 국가자격증 요약
자격증 | 시험기관 | 용도 |
---|---|---|
마필관리사 | 한국산업인력공단 | 말 사육·관리 전문 인력 |
장제사 | 한국산업인력공단 | 말발굽 제철 전문가 |
재활승마지도사 | KHAPA | 장애인 승마 지도 |
5. 자격증 취득의 이점
- 공식적인 기승 능력 인증
- 유소년 및 초급자 교육 자격 확보
- 말산업 종사자 채용 시 가산점 부여
- 해외 연수나 대회 참가 시 레벨 기준 충족
마무리
승마 자격증은 단순한 라이센스를 넘어, 당신의 승마 실력과 열정을 공식적으로 보여주는 ‘신뢰의 증명’입니다.
취미 기수부터 전문가까지, 단계적으로 도전해보며 승마의 길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보세요.
0 댓글